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들/건강 의학

코로나19 항체검사 관련 Q&A

by SoSo Days 2021. 10. 28.
반응형

코로나19 항체검사 관련 7문 7답

 

Q. 백신 접종을 완료했지만 항체검사 결과 음성으로 나올 가능성은? YES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검사시약의 최소검출한계가 낮거나 체내 항체 양이 검사시약으로 검 출할 수 있을 만큼 높지 않은 경우 항체가 생겼음에도 음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 또한 백신의 표적단백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로, 백 신을 접종하면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위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 는데, 항체검사 제품의 표적단백질이 스파이크 단백질 해당 부위가 아닌 경우, 해당 제품으로는 백신 접종으로 인해 생긴 항체를 확인 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항체검사 음성만으로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지 않았 거나, 면역력이 생기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Q. 접종 완료 후 항체가 없거나 수치가 낮은 경우 재접종을 해야 하나? NO

○ 백신을 맞은 사람도 백신의 종류, 항체검사의 종류, 검사 시기, 기저 질환 등에 따라 항체가 검출되지 않을 수가 있어 항체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재접종 여부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Q. 항체검사가 본인 면역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나? NO

 현재까지 항체검사로 코로나19에 대한 개인의 면역력이나, 바이러스 전 파 가능성에 대해 판단 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Q. 항체검사 양성인 경우 백신을 맞지 않아도 되나? NO

 질병관리청에서는 항체 형성 여부로 접종 대상을 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항체 양성 결과가 충분한 면역력 형성의 근거가 될 수 없고, 다른 바이러스 등에 의한 교차반응으로 생긴 가짜양성일 수도 있기 때문에 항체검사 양성이더라도 백신 접종을 권고드립니다.

 

 

Q. 항체형성률이 낮은 대상 등에 추가적인 접종계획이 있나?

 항체형성률로 백신 접종의 효과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 다만, 기본접종(얀센 1회, 그 외 백신 2회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접종효과 감소, 델타변이 확산에 따른 추가접종에 대한 국외 사례(미 국, 독일) 및 과학적 근거가 축적됨에 따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통해 기본접종 완료 6개월 이후 추가접종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였습니다.

* 특히,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기본접종 완료 6개월 이전이라 하 더라도 추가접종을 우선 실시하는 것이 가능

 

○ 이에 따라, 추가접종(부스터샷)에 대한 시기, 대상, 백신 등에 대해서 는 별도로 접종계획을 수립중에 있으며, 4분기 시행계획 발표 시 안내 예정입니다.

 

Q. 백신접종 후 항체검사를 해야 하나요? NO

 현재까지 항체검사로 코로나19에 대한 개인의 면역력이나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 및 유럽 질병통제센터, 국제보건기구,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공인된 기관과 전문가들의 공통적 의견입니다.

 

○ 따라서 현재까지는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을 확인하기 위한 항체검사는 불필요하며, 향후 많은 연구결과가 누적되고, 면역력을 확인할 수 있는 항체검사 제품이 출시되면 면역력 확인 목적의 항체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Q. 항체검사 제품은 왜 과거 감염 이력 확인에만 사용해야 하나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된 제품은 코로나19 감염 환자 대상으로 임상적 성능시험이 시행되었으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자는 평가 되지 않았습니다.

 

○ 또한 아직까지 항체 생성 정도와 실제 면역력과의 상관성에 대해서 는 검증되지 않았고, 백신 접종 후 개인의 면역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의 항체 검사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