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로고 자료실/공공 정부28

[국가보훈처]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태극을 청색과 적색의 하나된 모습으로 역동적으로 표현하며 국가와 국민, 대한민국과 세계, 과거와 현재를 융합하여 미래를 만들어가는 대한민국 정부를 상징. 태극 원형의 색상을 연계하여 대한민국 다움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코리아 프리미엄의 문화적 세련미를 표현. 국가보훈처 색상 슬로건 국가를 향한 믿음으로 만들어지는 국민의 든든한 미래, 유공자를 위한 든든한 돌봄을 상징. ‘국가와 국민의 신뢰와 믿음’을 ‘영원히 깨지지 않는 단단한 사슬’로 표현하여 어떠한 일이 생겨도 국가가 책임진다는 약속과 보훈의 진정성을 의미. 2022. 10. 17.
[군산시]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브랜드 슬로건 - ‘물빛희망’부드러운 느낌의 서체를 사용해 다중의 의미가 자연스럽게 다가서도록 함 - ‘군산’ 글자 밑 물결의 연장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로 상호 연결되는 군산의 연속성, 연결성을 담아냄 - 군산을 에워싼 다양한 원형은 각각 군산의 인물, 지역, 자원, 문화를 나타내며, 이를 융합과 어우러짐으로 표현함 - 물빛이 가진 푸른색을 통해 지속가능한 자립경제의 토대를 둔 희망찬 군산의 미래를 보여줌 캐릭터 시의 상징인 동백꽃을 모티브로하여 의인화 시킨 캐릭터로 주조색을 이루고 있는 노랑색은 미래지향적이고 밝은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름 또한 "밝음이"로 서해안 시대의 중심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는 군산의 명쾌한 이미지를 캐릭터가 더욱 밝고 신나는 이미지를 부각 https://www.guns.. 2022. 9. 7.
[국회]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국회커뮤니케이션마크 국회커뮤니케이션마크는 국회의사당 건물을 모티브로 하였습니다. 상부의 양쪽에서 뻗어 나와 돔의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곡선은 찬반 토론을 통해 일치되는 하나의 결론, 여당과 야당의 상생과 협력, 더 나아가 온 국민의 화합을 상징합니다. 국회의사당의 기둥은 대한민국 입법기관으로서의 위상과 곧은 정치적 신념을 의미하며, 시각적으로 안정감 있는 형태를 구현하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국회의 이미지를 전달합니다. 국회휘장 새로운 국회휘장은 기존 국회기와 국회의원배지의 틀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이미지로 보완하였습니다. 첫째, 무궁화 안에 ‘국회’라는 한글 두 글자를 넣었습니다. 글꼴은 한글의 기본 틀인 돋움체를 기초로 전각의 느낌을 표현하여 국회의 품격과 신뢰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둘째, .. 2022. 9. 7.
[국방부]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국방부 로고 상징물 전체 다운로드 https://www.mnd.go.kr/mbshome/mbs/mnd/subview.jsp?id=mnd_060202000000 상징물 (즐겨찾는 메뉴는 최근 등록한 5개 메뉴가 노출됩니다) 메뉴 추가하기 www.mnd.go.kr 2022. 9. 7.
[구미시] 구미시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구미시의 심벌마크는 구미시 전체 이미지를 집약하여 상징화한 시각물로써 모든 시각전달 매체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는 가장 핵심적인 기본요소이다. 따라서 심벌마크는 대내적으로는 구미시민들에게 일체감을 조성하고 대외적으로는 구미시의 일괄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게 되므로 각종 요소별 사용규정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구미시의 심벌마크는 첨단 산업도시를 나타내는 핵과 찬란한 문화를 나타내는 다른 핵을 두 개의 원으로 표현하여 끝없이 질주하는 무한가능성을 나타내는 뫼비우스의 띠로 연결, 첨단도시와 문화가 공존하여 끝없이 발전하는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또한, 활발하게 움직이는 전자운동을 우주궤도의 형상으로 표현, 세계적인 첨단 전자산업을 리드하는 구미의 무한한 힘을 상징한다. 색상은 GUMI-.. 2022. 9. 7.
[광주광역시]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광주광역시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심벌마크 기본형 광주광역시의 기본심벌은 빛과 생명의 원천인 태양과 인간 형상을 기본으로 한다. 이는 세계, 미래로 열린 빛고을 광주의 열망과 진취적 기상을 표현한 것으로 전체 둥근원은 태양을,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경쾌한 곡선은 인간을 의미한다. 로고타입 로고타입은 심벌마크와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어 광주광역시의 시각적 이미지를 상징하는 중요한 기본요소이다. 본 로고타입은 현대적인 감각과 함께 행정기관의 신뢰감, 친밀감, 부드러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읽기 편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전용색상 전용색상은 '빛'과 '생명'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명시도가 강하면서 확산과 힘을 나타낸다. 주황, 노랑색은 빛을 상징하고 만물의 생성을 상징하는 진녹.. 2022. 9. 7.
[관세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관세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관세청 상징 태극문양은 태극기의 청·홍·백의 조합과 담백함으로 대한민국다움을 극대화하고, 열린 조형으로 국민, 세계, 미래를 향해 진취적인 대한민국 정부를 표상함. 글꼴은 한글 창제기의 글꼴인 정음체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발전시켜 태극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정부상징이 갖는 최고의 권위를 뒷받침함. 색상 정부청색 GOK Blue CMYK : C 100% + M 70% + Y 20% + K 40% RGB : R 0 + G 55 + B 100 PANTONE : PANTONE 2955C 정부적색 GOK Red CMYK : C 100% + Y 80% RGB : R 228 + G 3 + B 46 PANTONE : PANTONE 1935C 정부회색 GOK Gr.. 2022. 9. 7.
[경찰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경찰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경찰60년을 맞아 새롭게 선정된 경찰상징은 참수리(경찰)가 무궁화(국가와 국민)를 잡고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경찰이 국가와 국민을 수호하는 동시에 “최상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여 선진 한국으로서의 도약을 이끄는 기수가 되겠다는 굳건한 의지를 형상화 이번 경찰 기관문양 도입은? 미군정하에 제작(1946년)되어 그간 정체성의 논란이 있었던 독수리의 상징물을 과감히 한국 수리인 “참수리” 형상으로 새롭게 표현하여 기존의 경찰 브랜드 가치는 유지하면서도 과거 부정적 이미지를 털어냈다는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https://www.police.go.kr/www/agency/intro/intro02.jsp 상징 : HO.. 2022. 9. 7.
[경남도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경상남도 경상남도청 경남도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경남 심벌마크 지정 연월일 : 1999년 11월 22일 경남 심벌마크는 전체적으로 경남의 빼어난 자연 경관과 경남인의 불굴의 기상이 서로 만나 태양처럼 희망찬 미래를 열어 나간다는 뜻을 담고 있음. 심벌 마크는 다섯 개 부분으로 구성. 전체적인 원의 형상은 태양·산·바다·대지 등 자연과 문화·사회·지식· 기술 등 경남인의 역량이 서로 융합하여 동·서·남·북 경남을 고루 발전하게 한다는 화합의 정신을 바탕에 깔고 있으며, 나아가 우리 경남이 21세기 환태평양 시대 첨단산업과 문화·관광 산업이 조화롭게 발전하여 세계 속의 경남으로 무한히 뻗어 나간다는것을 상징함 브랜드 슬로건 지정 연월일 : 2015년 7월 1일 "340만 도민.. 2022. 9. 7.
[경산시] 경산시청 AI 로고 CI BI 투명바탕 PNG 파일 다운로드 경산시 경산시청 AI 로고 경산시 마크 경산의 영문 이니셜인 'G'와 'S'를 사용하여 좌우 음양의 조화를 위해 적극적인 'G'의 강력한 이니셜 속에 소극적인 'S'를 자연스럽게 나타냈다. 녹색환경과 인간(교육), 미래 비전과 희망 청색역사와 첨단산업, 교육이 이루어낸 터전 전체적으로 녹색의 터전 위에서 완전한 발전을 이루어가는 청색의 희망적인 모습을 화합하는 어울림으로 형상화하였다. 캐릭터 베푸리 하나 이상으로 나눈다는 의미로 연산기호 '나누기(÷)'를 형상화하였다. 이웃과 정을 나누며 서로 돕고 살아가는 정겨운 경산시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육과 산업, 문화가 조화롭게 나누어져 하나로 화합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베풀다'라는 우리말과 '친구가 되다', '~와 사귀다', '돕다', '~을 돌봐주다'라.. 2022.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