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들/사회 경제

국민지원금 안내 스미싱 주의! 피해 발생 시 대처 및 신고 요령

by SoSo Days 2021. 9. 7.
반응형

정부·카드사 공식문자 확인 및 결제사기 의심 문자 118신고

정부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하 국민지원금)’ 신청·지급 시기와 맞물려 국민지원금 지급대상·금액 안내, 카드 사용 승인, 지원금 충전 등의 내용으로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스미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SMS)를 대량 전송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해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수법이다.

이용자는 스미싱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비서 사전 알림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국민비서·카드사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안내문자를 받은 경우 또는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문자를 받은 경우 한 번 더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의심 문자로 판단한 경우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고, 문자를 열람했다면 문자 내 인터넷주소(URL) 클릭에 신중해야 한다.

아울러, 이용자들은 평상시 ‘10대 스마트폰 보안수칙’을 실천할 필요가 있으며, 스미싱 의심 문자를 수신했거나 악성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24시간 무료로 운영하는 118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스미싱 피해발생 시 행동요령]
①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국번없이 118) 상담
②문자메시지 등으로 수신된 금융회사 및 공공기관의 홈페이지는 반드시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정확한 주소인지 확인
③금융 및 증권 등 인증서 즉시 폐기 및 재발급받기
④사용 중인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문자결제사기 예방서비스(App 등) 설치 및 활용
⑤이동통신사에 모바일 결제내역 여부 확인
⑥주변 지인들에게 문자결제사기 피해 사실을 즉시 알려 2차 피해 발생 사전 방지
⑦악성파일 삭제 : 스마트폰 내 ‘다운로드’, ‘파일’, ‘파일 관리자’ 등 앱 실행 → 문자를 클릭한 시점 이후, 확장자명이 apk인 파일 저장여부 확인 → 해당 apk파일 삭제하고, 삭제되지 않는 경우, 휴대전화 서비스센터 방문 또는 스마트폰 초기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