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평균 수명이 점점 높아지면서 고령인구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것이
암 발생입니다.
현재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83세인데 이 기대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율은 38%라고 하니
1/3은 암으로 인해 힘든 치료 과정을 겪거나 결국은 암으로 인해 사망하게 된다는 얘기겠네요~
성별에 따른 암의 유형은
남성의 경우
폐암 > 위암 > 대장암 > 전립선암 > 간암
여성의 경우
유방암 > 갑상선암 > 대장암 > 위암 >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런 #암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건강한 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는데요
특히 일상 생활속에서의 #활성산소 제거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활성산소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호흡하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체내에 발생하는 물질로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는 없지만 양이 과도해지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합니다.
활성 산소가 많아지면 노화가 촉진되고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활성산소가 정상 세포를 공격하면 유전자가 변형되면서 암이 발생할수도 있다고 하니
어떻게 하면 이 활성산소를 낮출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활성산소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영양소로는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 등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 두가지 영양소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암의 원인, 활성산소 낮춰주는 영양소1. 라이코펜
라이코펜의 효과와 많이 들어있는 음식
붉은 색을 띠며 활성산소를 억제·중화시키는 항산화작용을 한다.
토마토·수박·파파야와 같은 붉은 식물, 특히 잘 익은 토마토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2005년 미국 타임지에서 토마토를 10대 항산화 식품으로 선정했습니다.
체내 라이코펜 함량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만큼,
평소 토마토와 같은 식품을 통해 적절히 섭취·보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라이코펜 함유 토마토 섭취 시 효과
토마토 및 토마토 가공식품 섭취 시 전립선암 발병위험이 감소하였습니다.
토마토를 주10회 섭취 시 주2회 이하 섭취보다 전립선암 위험 45% 감소 (하버드대 연구 결과)
토마토 내 비타민E는 세포막의 산화를 막아 노화를 지연시킬 수도 있습니다.
토마토 섭취 방법
토마토의 라이코펜은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라이코펜의 경우 가열할 수록 활성화되므로 토마토를 껍질채 익혀먹는 것을 권장합니다.
토마토를 88도에서 30분 정도 가열했을 때 라이코펜이 약 35% 증가합니다.
라이코펜은 기름에 잘 녹기 때문에
토마토를 기름을 두른 뒤 볶아서 먹거나 끓일 때 기름을 약간 사용하는 게 좋다고 하니
토마토 달갈볶음같이 간단하면서도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 좋겠네요~
암의 원인, 활성산소 낮춰주는 영양소2. 베타카로틴
베타카로틴
주황색을 띠는 베타카로틴은 카로틴의 일종이며 녹황색 채소에 풍부하다.
당근은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대표적 식품
'카로틴(Carotene)' 이라는 용어 자체가 당근의 라틴어 이름(Carota)에서 비롯된 단어기도 하다.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비타민A로 전환돼 활성산소를 공격,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많이 먹어도 비타민A 과잉증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없다.
베타카로틴의 효능 효과
카로틴은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눈 충혈 증상 완화, 시신경 강화에 도움
피부 세포 성장·발달, 피부 점막 형성·기능 유지에도 관여
베타카로틴이 체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몸에 쌓인 유해산소가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을수 있다고 합니다.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당근 섭취법
당근을 생으로 먹을 때 - 베타카로틴 흡수량 10%
당근을 익혀 먹을 때 - 베타카로틴 흡수량이 60% 이상
이밖에 두 식품을 주스나 케첩, 스프 등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하니
다양한 방법으로 당근과 토마토를 먹으면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두가지 영양소 모두 지용성에 익혀먹는 것이 좋다고 하니 볶음요리에 함께 활용하시거나 피자에 당근을 활용해서 아이들에게 해주는 것도 좋을것 같아요~
'유용한 정보들 > 건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뱃살의 모양에 따라 다른 다이어트 방법 (0) | 2022.04.15 |
---|---|
노화성 난청, 새로운 치료 근거 나왔다. 청력 10배 증가 (0) | 2022.04.15 |
코로나 19 증상, '이런 사람'에게 더 심하게 나타난다 (0) | 2022.04.15 |
국내에서 XL 변이 처음으로 확인, 오미크론과 비슷 (0) | 2022.04.13 |
60대 이상은 코로나 백신 4차 접종 받으세요~ (0) | 2022.04.13 |